내게 주어진 모든 것을 사랑으로!!

꽃과 나무

초가을 숲에서

물소리~~^ 2017. 9. 11. 07:31

 

 

 

 

1.

▲ 박주가리

 

꽃모습이 불가사리를 닮았다.

저녁 산책길에 무리지어 피어있는 곁을 지나면 향기가 참 좋다.

꽃 지고 맺는 풋 열매는 껍질과 통째로 먹기도 하며,

열매가 익으면 저절로 벌어져 씨가 날아가고 남은 껍질이

물 뜨는 박 바가지를 닮았다고 해서 박주가리라고 한다는데

꽃은 한 없이 부드럽기만 한데 이름의 어감이 좀 거칠다

 

 

 

 

 

▲ 박주가리의 달콤한 향에 빠진 나비

 

 

 

2.

▲ 댕댕이덩굴

 

이 열매를 만날 때마다 난 무작정 다정함이 샘솟는다.

지난여름 무더위를 이겨내느라 자신을 얼마만큼 다스렸을까

그 다스림으로 저리도 동그란 마음이 되었을까

그리 크지 않은 망울 하나하나가 너무 예쁘고 당차 보여

차마 만지지 못하고 가만히 바라보기만 한다.

빛깔은 어이하여 그리 어여쁘며 …

치렁치렁 매달린 자유스러움에서 무한한 멋스러움이 느껴진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3.

▲ 며느리밥풀꽃

며느리들이 뭉쳤다

다가오는 추석명절에는 식구 모두의 힘을 나누어 즐겁게 보내자! 고 시위를 한다.

 

 

 

 

4.

▲ 며느리배꼽

우리들도 가을 하늘을 날으는 비행기타고 여행을 떠나고 싶다.

 

 

 

 

5.

 

 

▲ 구기자

 

 

6.

▲ 무릇

 

꽃이 피기 전 잎이 자랄 때면

잎이 반듯하고 고와 난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.

늘씬한 키에 꽃 피운 모습도 예쁘지만 꽃 진후 꽃대도 단정하니 참 예쁘다

무릇 사람도 이처럼 몸도 마음도 항상 예뻐야 하는지라~~

 

 

 

 

7.

▲ 꼭두서니

 

참 예쁜 이름이다.

꽃이 어쩜 그렇게도 작은지 사진 찍기가 정말 어렵다.

하지만 작고도 작은 꽃이지만 은은한 꽃빛을 지녔을 뿐 아니라

몸 속 깊은 곳에 정열을 품고 있는지 꼭두서니빛의 빨간 물감의 원료로 사용했단다.

요즈음에는 합성염료로 대체하면서 사용하지 않는다.

네모진 줄기에는 거친 잔 가시가 있어 긁히기 쉬운데

열매는 까맣고 둥글게 맺으니

아마도 작은 몸으로 살아남기 위한 호신용 가시가 아닐까?

 

 

 

8.

▲ 산박하

 

이름만 들으면 박하향이 날 듯싶은데 향은 거의 없다.

산에서 나는 박하인데

꽃이 넘 작으니 사진 찍기에 성공적인 때가 드물다

어째 연장 탓하는 사람하고 나하고 똑같다.

 

 

 

 

9.

▲ 개여뀌

 

여뀌의 종류도 참 많다.

여뀌 종류는 개여뀌, 이삭여뀌, 기생여뀌, 흰꽃여뀌 등 40가지가 넘고

그중 개여뀌는 흔히 만나는 꽃으로 사람들의 깊은 눈길을 받지 못하지만

하나하나보다는 군락으로 피어있을 때 정말 예쁘다.

 

통통하게 여문 꽃을 만지면 금방이라도 터질 것 같은 질감이 느껴진다.

잎을 씹어보면 매워서 ‘맵쟁이’라고도 부른다.

김주영의 소설 ‘홍어’에도

최명희의 소설 ‘혼불’에도 등장하는 꽃으로

그만큼 우리의 생활과 친숙한 꽃이라 여겨진다.


지난 글 여뀌이야기  ☞ http://blog.daum.net/panflut0312/3481685

 

 

 

 

10.

▲ 폐쇄화(솜나물 가을꽃)

 

난 이 꽃에 관심이 많다

봄에 피는 꽃도 예쁘지만

가을에 씨앗을 날려 보내기위해 다시 한 번 꽃을 피우기 때문이다

가을꽃을 폐쇄화라고 부른다는 사실을 알고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.

 

 

 

▲ 봄에 핀 솜나물 꽃

 

 

11.

▲ 들깨풀

 

 

 

12.

▲ 비수리???

 

 

 

 

13.

▲ 파리풀 옆 맥문동 꽃에 매미 우화가 벌처럼 달려 있다.

 

 

 

14.

▲ 이질풀

 

 

15.

▲ 계요등과 피라칸사스 열매

 

 

16.

▲수크렁

 

사자성어 결초보은(結草報恩)을 탄생시킨 장본인이다.

이는 중국에서 유래되는 이야기로

한 노인이 장수에게 큰 은혜를 입었다.(딸을 살려 준 은혜)

전쟁에서 그 장수가 패할 위기에 처하자

노인은 그 장수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

길가에서 자라던 이 풀을 잡아 매어두고 적군의 말과 사람들이 풀에 걸려 넘어지게 했고

결국 장수는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다는 내용으로

풀을 묶어(結草) 은혜(恩)를 보답(報) 한데서 ‘결초보은’ 이 유래되었다고 한다.

이 풀은 뿌리 힘도 강해 논 밭두렁의 무너짐 방지를 위해 식재하기도 한다.

 

어찌 길가에서 아무렇게 자라는 풀이라고 하찮게 여길 수 있을까.

 

 

 

 

 

17. 

가을빛이네~~

 

 

 

 

 

 

'꽃과 나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새박덩굴  (0) 2017.11.08
지리산을 수 놓는 가을 꽃들은~~  (0) 2017.09.20
닭의장풀 그리고....  (0) 2017.09.08
세잎쥐손이  (0) 2017.09.01
거지덩굴  (0) 2017.08.29